"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파이썬 파파고 번역 슬랙봇 만들기(1) : 네이버 파파고 API 신청하기

게임 프로그래밍/Python

파이썬 파파고 번역 슬랙봇 만들기(1) : 네이버 파파고 API 신청하기

Alexu 2019. 1. 31. 23:34
반응형



슬랙에 번역 봇 만들기(파파고 API)


파파고의 번역 품질이 매우 좋아졌습니다.

왠만한 영어, 일본어 문장은 읽기 무난한 정도까지 번역을 해줍니다.


제법 긴 문장이나 기사까지 무리없이 번역을 해주는 것을 보면 이제 신뢰를 좀 해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파이썬은 이미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어떻게 사용할까?

@봇이름 언어명령어 번역내용

봇이름을 치고 한일(한국어 -> 일본어) 영한(영어 -> 한국어) 와 같이 명령어를 치고 번역할 내용을 치면 아래와 같이 봇이 번역해서 되돌려줍니다.

필자가 사용 중인 슬랙의 봇의 번역 동작



진행 순서

진행은 아래의 순서로 합니다.

1. 네이버 API 이용신청을 한다.
2. 슬랙에 봇을 생성하고 승인을 받습니다.
3. 깃허브에서 Slackbot을 다운받는다.
4. 네이버 API를 이용한 plugin을 작성한다.


1. 네이버 API 이용신청하기

파파고를 사용하기 위해선 네이버 API 이용신청을 해야합니다.
신청이라고 해서 거창해 보이지만 1~2분도 채 걸리지 않고 쉽게 만들어집니다.
ID 만들기보다 쉬우니까 걱정말고 시작하세요.


위의 페이지에 접속하면 어플리케이션 이름과 사용할 API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우리는 NMT 번역을 사용합니다!

NMT와 SMT가 있는데 NMT가 새 거 !!!!

신경망 번역 방식이라고 하는데 훨씬 품질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좋아질거랍니다.
SMT로 해도 되지만, 하지 말죠.




슬랙은 웹메신저이기 때문에 WEB설정으로 하면됩니다.


웹페이지는 사실 대충 해도 됩니다. 메신저를 쓸 거기 때문에 아무래도 상관없습니다.







등록을 누르면 위와 같이 클라이언트 ID와 Secret가 보입니다. 번역하려면 두 값 모두 필요하다. 잘 저장해둡니다.




첫 번째 순서로 네이버 API 신청이 끝났습니다.

다음은 슬랙에 봇을 생성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반응형